본문 바로가기

심리학33

성격 검사 성격검사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향이나 기질 등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65년 미네소타 다면적 성격 항목표(Minnesota Multi phasic Personality Inventory)가 번역되어 사용되었으며 이 검사는 그 후 한국 임상 심리학회에서 다면적 인성 검사(MMPI)라는 이름으로 재표준화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성격검사이기도 하다. 객관적 검사 :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서, 형식화된 질문지나 성격 항목표를 이용해서 자신의 특징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자기 보고식 검사 방식에도 해당한다. 투사적 기법 검사 : 이는 비구조적인 과제를 제시하고 자유롭게 응답하도록 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주제통각검사(TAT)와 오르셔라(Rorschach) 검사,.. 2022. 11. 12.
◈ 심리 검사 심리검사(心理檢査,psychological testing)란 능력, 성격, 흥미, 태도 등과 같은 심리적 구성개념(psychological constructs)을 수량화하기 위해서 표준화된 측정 도구를 말한다. 한편 심리검사는 개인 또는 집단의 심리적 특성이나 이슈를 측정하는 도구로 심리평가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지능 검사, 성격 검사 등이 있다. 심리적 구성개념이란 심리학자들이 사용하는 추상적이고 가설적인 개념으로서 직접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키나 몸무게 같은 물리적 속성은 줄자나 체중계를 사용해 직접 그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이란 대상 자체가 아니라 그 대상의 속성(attribute)에 수치를 할당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보면 우리가 키나 몸무게를 측정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키.. 2022. 11. 11.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外傷後 - 障礙, 영어: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신체적인 손상 또는 생명에 대한 불안 등 정신적 충격을 동반하는 사고를 겪은 후 심적 외상을 받아 나타나는 정신 질환의 일종이다. 충격후스트레스장애, 외상성 스트레스장애, 외상후증후군,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 트라우마, 외상후 스트레스라고도 한다. 주로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일들에서 벗어난 사건들, 이를테면 천재지변, 화재, 전쟁, 신체적 폭행, 고문, 강간, 성폭행, 인질 사건, 소아 학대, 자동차 · 비행기 · 기차 · 선박 등에 의한 사고, 그 밖의 대형사고 등을 겪은 뒤에 주로 발생한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개인에 따라 다른지만 충격 후 즉시 시작될 수도 있고 수일, 수주.. 2022. 11. 10.
범죄 심리학 저자:홍성열 출판:학지사 출간일: 2012년 9월 10일 최근 범죄심리학의 거품이 빠지면서 범죄심리학자와 프로파일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매스컴을 통해서도 그들의 뛰어난 범죄심리를 파헤치는 것을 보고 있으면 어느새 점점 빠져들곤 한다. 범죄심리학은 범죄에 대한 내용을 심리학으로 풀어내야 하므로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이 책은 기존의 딱딱하고 엄격한 스타일의 문법을 벗어나 편한 마음에서 써보려고 시도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사투리도 섞여 있고 때로는 소설 같은 느낌도 많이 있다. 왜냐하면 지식의 전달이라는 의미 에서 보면, 교과서적 설명보다는 이야기식의 소개가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전통적인 인간관계 형성이 어려워지고 인간의 심리 또한 이해할 수 없는 감정들로 인해 흉악.. 2022. 11.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