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철음식6

겨울 건강 지키미 (차)/건강상식 ◀ 겨울이 시작되는 시점에는 우리의 건강도 흔들린다. 그럼 오늘은 겨울 건강을 지켜줄 차 종류와 효능에 대해 알아볼까요? :) 1. 생강차 생강차(生姜茶)는 향신료로 쓰이는 생강으로 만드는 차이다. 생강은 얇게 저미며, 몇 주 동안 벌꿀과 함께 저장한 후, 발효가 되면 꺼내 차로 만들어 먹는다. 생강은 보통 감기를 예방하고 소화를 도우며, 설사와 저체온증으로 인한 복통에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위궤양을 가진 사람이 먹어서는 안된다. ▶효능 : 메스꺼움과 구토 예방, 소화불량 완화, 인후염과 감기 예방,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에 도움, 관절염 완화 ▶부작용 : 치질환자의 경우 혈관 확장으로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위가 약한 경우 위산 과다 현상이 있을 수 있다, 불면증과 혈압이 높은 경우 증상이 심해질 수.. 2022. 11. 28.
영양 만점 11월 제철 수산물 2탄 ▼11월 제철 수산물 9월 ~ 12월 대하 보통의 새우들보다 몸집이 큰 새우를 부르는 한자어다. 소금구이로 해먹을 뿐만 아니라 중국요리에서도 자주 쓰인다. '대하', '큰 새우', '왕새우' 셋 다 같은 뜻으로 인정되니 좋을 대로 쓰면 된다. 1. 기본정보 · 구입요령 : 몸이 투명하고 윤기나는 것과 껍질이 단단한 것이 좋음. · 유사재료 : 중하 (몸의 빛깔은 누런 옅은 녹색이며, 몸 전체에 검은 반점이 있다. 다른 새우에 비하여 옆 가시가 없다.) · 보관온도 : -20℃~0℃ · 보관일 : 1개월 · 보관법 : 깨끗이 손질하여 냉동 보관한다. · 손질법 : 등 쪽 두 번째 마디에서 이쑤시개를 이용해 긴 내장을 빼내고 옅은 소금물에 흔들어 씻는다. · 산지특성 및 기타 정보 : 우리나라 서해, 남해에.. 2022. 11. 24.
영양 만점 11월 제철 수산물 1탄 ▶ 11월 제철 수산물 10월~11월 해삼 1. 기본정보 · 구입요령 : 싱싱한 해삼은 살에 매우 작은 석회질 뼈조각이 있어 혀에 닿으면 딱딱한 감촉이 있다. 또 신선한 것은 썰어 놓으면 딱딱한데 상한 것은 틀어지고, 물이 생기며, 냄새가 나고, 식중독을 일으키기도 한다. · 유사재료 : 해파리 (해삼과 해파리에는 지방이 거의 들어 있지 않아 다이어트에 좋으나, 해삼은 단백질, 철분, 칼슘이 풍부하고 해파리에는 대사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 보관온도 : -20℃~0℃ · 보관일 : 3개월 · 보관법 :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상태로 냉동 보관한다. · 손질법 : 내장을 빼내고 연한 소금물에 흔들어 씻은 다음 적당한 굵기로 썰고 바싹 마른 해삼은 넉넉한 물에 담가 하룻밤 정도 불려서 칫솔로 박박.. 2022. 11. 23.
겨울철 별미 과메기 과메기는 주로 청어나 꽁치를 반건조한 발효 식품이다. 과메기는 주로 경상북도 지방에서 먹던 음식이다. 한국의 동쪽 해안에서는 겨울철에 많은 양의 청어나 꽁치가 잡히고 이를 보관하기 위해서 생선의 눈에 구멍을 뚫어 그 구멍으로 실이나 나뭇가지 등을 매달아 보관하는 관목이 과메기의 초기 모습이다. 1809년 살림 및 요리책인 규합총서에서 관목이 언급되었고 여지도서에서 영일형의 산물이 청어이며 공물로 관목을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여기서 관목이 후에 과메기, 과메기가 되었다고 알려진다. 영일만에서는 주로 청어로 과메기를 만들었으나 1960년대 이후 꽁치가 많이 잡히자 주로 꽁치로 과메기를 만들었다. 회나 구이로 먹고 남은 것을 새끼줄로 엮어 바닷가나 부엌에 내장과 등뼈를 제거하지 않은 채로 보관하여 먹었다. .. 2022. 11. 21.

<